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종류와 쓰임, 예문

by choienglish123 2025. 3. 11.
반응형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종류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는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하는 절(noun clause)을 형성하는 접속사입니다. 명사절은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하며, 주절과 함께 사용되어 문장의 의미를 완성합니다. 대표적인 명사절 접속사에는 that, whether, if과 의문사 who, what, where, when, why, how 등이 있습니다.

1.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의 종류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접속사 that

that은 명사절을 이끌며, 주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의미적으로 "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예문:

I believe that he is honest. (나는 그가 정직하다는 것을 믿는다.)

She said that she would come. (그녀는 오겠다고 말했다.)

It is clear that he made a mistake. (그가 실수했다는 것이 분명하다.)

(2) 의문사(who, what, where, when, why, how)

의문사가 명사절을 이끌 때는 간접의문문을 형성하며, 주어나 목적어의 역할을 합니다.

예문:

I don’t know who she is. (나는 그녀가 누구인지 모른다.)

Can you tell me where he lives? (그가 어디에 사는지 말해줄 수 있니?)

I wonder why he left early. (나는 왜 그가 일찍 떠났는지 궁금하다.)

(3) whetherif

whetherif는 "~인지 아닌지"라는 뜻으로, 주로 동사의 목적어 자리에 사용됩니다.

예문:

I don’t know whether he will come. (나는 그가 올지 안 올지 모른다.)

She asked me if I was okay. (그녀는 내가 괜찮은지 물어봤다.)

Let me know whether you agree or not. (네가 동의하는지 아닌지 알려줘.)

 

 

2. 명사절의 문장에서의 역할

(1) 주어 역할

명사절이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문:

That she passed the test is surprising. (그녀가 시험에 합격했다는 것은 놀랍다.)

What he said is true. (그가 말한 것은 사실이다.)

How he solved the problem was impressive. (그가 문제를 해결한 방식은 인상적이었다.)

(2) 목적어 역할

명사절은 동사의 목적어로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I know that she is a teacher. (나는 그녀가 선생님이라는 것을 안다.)

She explained why she was late. (그녀는 왜 늦었는지 설명했다.)

He doesn’t remember what happened. (그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3) 보어 역할

명사절이 주격보어나 목적격보어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예문:

My opinion is that we should wait. (내 의견은 우리가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The problem is whether we have enough time. (문제는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있는지 여부이다.)

 

 

3. 명사절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규칙

(1) that 절에서 that은 생략 가능

목적어로 쓰이는 that절은 종종 that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문:

I think (that) he is right. → I think he is right.

She said (that) she was tired. → She said she was tired.

(2) whetherif의 차이

whetheror not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전치사 뒤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반면, if는 전치사 뒤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문:

I don’t know whether he will come or not. (그가 올지 안 올지 모르겠다.)

I am not sure whether to go or not. (가야 할지 말아야 할지 확신이 없다.)

잘못된 예문: I am not sure if to go. (X) → whether 사용

(3) 간접의문문에서 어순 변경

간접의문문에서는 일반적인 의문문 어순이 아닌 평서문 어순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문:

Do you know where she lives? (그녀가 어디 사는지 아니?)

(직접의문문: Where does she live?)

I don’t remember what he said. (나는 그가 뭐라고 말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직접의문문: What did he say?)

 

 

4. 명사절 종속접속사 정리표

종류 접속사 예문
단순 접속사 that I know that she is coming.
의문사 who, what, where, when, why, how She asked where I was.
선택 의문 whether, if I wonder whether he likes coffee.

 

 

5. 결론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는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들고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that, whether, if, 그리고 다양한 의문사를 활용하면 복잡한 생각이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속사의 쓰임을 잘 이해하고 연습하면 보다 자연스럽고 정확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