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동태(passive voice)는 문장에서 주어가 동작을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의 영향을 받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즉, 능동태(active voice)에서 목적어가 수동태에서는 주어가 됩니다. 수동태는 주로 "be + 과거분사 (past participle)" 형태로 만들어지며, 동작을 수행하는 행위자를 나타낼 때는 "by + 행위자"를 사용합니다.
1. 수동태의 기본 개념
수동태는 특정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예문:
- 능동태: The teacher teaches English. (선생님이 영어를 가르친다.)
- 수동태: English is taught by the teacher. (영어가 선생님에 의해 가르쳐진다.)
2. 수동태의 기본 형태
수동태는 시제에 따라 변화하며, 기본적으로 "be 동사 + 과거분사" 형태를 유지합니다.
(1) 현재 시제의 수동태 : am / is / are + 과거분사
예문:
- The book is read by many students. (그 책은 많은 학생들에 의해 읽힌다.)
- These houses are built every year. (이 집들은 매년 지어진다.)
(2) 과거 시제의 수동태 : was / were + 과거분사
예문:
- The letter was written by her. (그 편지는 그녀에 의해 쓰여졌다.)
- The cars were sold last week. (그 자동차들은 지난주에 팔렸다.)
(3) 미래 시제의 수동태 : will be + 과거분사
예문:
- A new school will be built next year. (새로운 학교가 내년에 지어질 것이다.)
- The work will be finished soon. (그 일은 곧 끝날 것이다.)
(4) 현재완료 시제의 수동태 : has / have been + 과거분사
예문:
- The project has been completed successfully. (그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 Many books have been written about this topic. (이 주제에 대해 많은 책들이 쓰여졌다.)
(5) 과거완료 시제의 수동태 : had been + 과거분사
예문:
- By the time we arrived, dinner had been prepared. (우리가 도착했을 때, 저녁은 준비되어 있었다.)
- The old house had been abandoned for years. (그 오래된 집은 수년 동안 버려져 있었다.)
(6) 조동사를 포함한 수동태 : 조동사 + be + 과거분사
예문:
- This problem must be solved immediately. (이 문제는 즉시 해결되어야 한다.)
- The rules should be followed strictly. (그 규칙들은 엄격히 지켜져야 한다.)
3. 수동태와 행위자(by + 행위자)
수동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이나 대상을 강조하고 싶다면 "by + 행위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문:
- The cake was made by my mother. (그 케이크는 우리 엄마가 만들었다.)
- The novel was written by a famous author. (그 소설은 유명한 작가에 의해 쓰였다.)
그러나 행위자가 명확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경우 "by + 행위자"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문:
- The bridge was built in 1990. (그 다리는 1990년에 지어졌다.)
4. 능동태와 수동태 비교
능동태 | 수동태 |
---|---|
He writes a letter. | A letter is written by him. |
She cleaned the room. | The room was cleaned by her. |
They will finish the work. | The work will be finished by them. |
5.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
일부 자동사는 목적어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수동태로 만들 수 없습니다.
예문:
- He goes to school. (능동태) → X 수동태 불가능
- She sleeps well. (능동태) → X 수동태 불가능
6. 결론
수동태는 문장에서 동작의 영향을 받는 대상을 강조할 때 사용되며, 주로 "be + 과거분사" 형태로 나타납니다. 능동태와 수동태의 변형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면 영어 문장을 더욱 풍부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