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문장을 이해하거나 구사하는 데 있어서, 단어만 많이 안다고 문장이 완성되지는 않습니다. 단어들을 어떻게 연결하고, 어떤 구조로 문장을 확장해 나가느냐가 관건인데요. 그 중심에 바로 "수식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수식어란 어떤 단어를 더 자세히 설명해주는 말로, 영어에서는 주로 형용사, 부사, 관계절 형태로 많이 등장합니다. 수식어를 알면 문장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문장도 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 수식어의 핵심 요소인 형용사, 부사, 관계절을 중심으로 아주 쉽게,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1. 형용사 수식어 - 명사를 꾸며주는 정확한 설명어
형용사는 영어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형용사는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해주는 도구라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dog"라고만 말하면 어떤 개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런데 "a big brown dog"라고 하면, 그 개가 크고 갈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죠. 이처럼 형용사는 명사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만들어주는 수식어입니다.
형용사는 보통 명사 앞에 위치하거나, 보어로 사용되며, 구나 절 형태로도 나타납니다. 여러 개의 형용사가 한 명사를 꾸밀 경우엔 순서가 정해져 있고, 복잡한 표현일수록 다양한 구조가 가능합니다.
● 형용사의 위치와 사용 방식
1. 명사 앞에 위치하는 경우 (일반적인 사용법)
- a beautiful flower
- an interesting book
- the red car
2.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 (be동사 또는 상태동사 뒤에 위치)
- She is tired.
- The food smells good.
- He became angry.
3. 형용사구(adjective phrase)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 a man full of wisdom
- a girl interested in art
- the cake made by grandma
형용사는 명사를 꾸미는 수식어지만, 그 방식은 단순히 단어 하나를 덧붙이는 것 이상입니다. 형용사절이나 분사구문으로도 확장될 수 있는데요.
● 복잡한 형용사 수식 예
- The student who studies hard will succeed. → 관계절로 명사를 수식
- The book placed on the desk is mine. → 분사구문으로 수식
● 형용사의 어순 규칙
형용사가 여러 개 나올 경우, 순서가 정해져 있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예: a lovely small old round wooden table
순서는 일반적으로: 감정 → 크기 → 나이 → 모양 → 색깔 → 재질 → 용도 → 명사
이렇게 형용사는 단어에서 구, 절로까지 확장되며, 수식의 핵심 역할을 합니다.
2. 부사 수식어 - 문장 전체를 다루는 유연한 설명자
부사는 영어 문장에서 가장 범용적인 수식어입니다.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심지어 문장 전체를 꾸밀 수 있는 매우 유연한 품사입니다. 부사는 기본적으로 어떻게(how), 언제(when), 어디서(where), 왜(why), 얼마나(how much) 등의 질문에 답해주는 역할을 하죠.
● 부사의 종류별 분류
1. 방법 부사(how): quickly, slowly, well
2. 장소 부사(where): here, there, everywhere
3. 시간 부사(when): now, then, yesterday, soon
4. 빈도 부사(how often): always, usually, sometimes
5. 정도 부사(how much): very, quite, too, almost
6. 접속적 부사: however, therefore, meanwhile
● 부사의 위치
부사는 위치가 상당히 자유롭지만,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문장 앞: Suddenly, the light went out.
2. 동사 뒤: He runs fast.
3. 목적어 뒤: She completed the task quickly.
4. 문장 중간 (조동사 뒤, 본동사 앞): She has always loved music.
● 부사가 수식하는 대상
- 동사 수식: He speaks clearly.
- 형용사 수식: It is very hot today.
- 부사 수식: She drives too quickly.
- 문장 전체 수식: Fortunately, nobody was hurt.
● 예문 분석
The boy almost always arrives late.
- almost: 빈도 부사 수식
- always: 빈도 부사
- late: 시간 부사
이처럼 부사는 단어뿐만 아니라 전체 문장의 뉘앙스를 바꾸는 수식어입니다. 작지만 큰 힘을 가지고 있죠.
3. 관계절 수식어 - 명사 뒤에 오는 문장형 설명어
관계절은 문장 안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절(문장 단위)입니다. 절이란 주어와 동사를 모두 포함한 문장이므로, 일반적인 수식어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관계절은 관계대명사(who, which, that 등)로 시작하고, 그 앞에 있는 명사를 설명합니다.
● 관계절의 종류
1. 제한적 관계절 (Defining Clause)
- The man who is wearing glasses is my teacher.
- 앞의 명사를 한정해줌. 꼭 필요함.
2. 비제한적 관계절 (Non-defining Clause)
- My friend, who lives in Canada, sent me a gift.
- 추가 정보만 제공. 쉼표로 구분하며 생략 가능.
● 자주 쓰이는 관계대명사
- who: 사람 → The girl who called me is here.
- which: 사물 → The book which I read was amazing.
- that: 사람, 사물 모두 가능
- whose: 소유격 → The boy whose father is a doctor
- whom: 목적격 → The man whom I met
● 관계절의 위치와 형태
관계절은 보통 명사 뒤에 위치하며, 해당 명사를 구체화합니다. 예문을 통해 이해해볼게요.
- I saw a dog that was chasing a cat.
- She met a woman who knew her mother.
- The company which makes this phone is in Korea.
● 전치사 + 관계대명사
전치사가 포함될 때는 다음과 같은 구조도 가능해요:
- The school in which I studied
- The person to whom I gave the letter
이런 고급 관계절 표현은 특히 문어체 영어, 시험 영어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4. 결론
영어 문장에서 수식어는 단순한 장식이 아닙니다. 문장의 뼈대를 더 튼튼하게 만들고, 독자나 청자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형용사, 부사, 관계절 이 세 가지 수식어는 각각 다른 역할을 하면서도, 조화를 이루어 문장을 더욱 정확하고 풍부하게 만듭니다. 영어 문장을 만들 때는 단순히 단어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수식어를 넣을지’를 고려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오늘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자신만의 예문을 만들어보며 연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수식어를 정확히 아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눈에 띄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